728x90
버드피딩이라고 하는 새밥주기 는 왜 괜찮을까?
고양이 밥주기랑 무슨 차이가 있을까?
알려드리겠습니다.
1. 버드피딩(새한테 먹이주기)는 주로 겨울에 한다.
단독주택이 많은 유럽/미국은 사시사철 버드피딩을 해줍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공동주택, 즉 아파트가 많기 때문에
어려운 환경이기도 하며 다양한 산이 많기도 하기 때문에
새들이 봄,여름,가을에는 뒷산에서 주로 먹이를 수급하게 됩니다.
하지만 겨울에는 먹이가 주로 없기 때문에
이 버드피딩을 겨울에 주로 해주는 거죠.
2. 생태계 먹이사슬은 고양이와 새가 다르다.
이렇게 귀여운 고양이도 우리나라에선
생태계 최상위권 포식자 중 하나 입니다.
이런 생태계 최상위권 포식자의 개체수가 늘어난다면
하부를 유지하는 생태계가 약해지게 돼있습니다.
하지만 이 버드피딩의 대상 새들은 생태계 중간에
위치한 애들입니다.
그래서 이 버드피딩을 통해 중간 단계의 생태계를 보호하여
윗단계, 아랫단계 생물까지 보호하는 겁니다.
3. 겨울에 새 밥 준다고 해서 개체수가 많이 늘어나지도 않는다
새는 고양이와 달리 영양이 충분하여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르지 않습니다.
특히나 겨울철에는 알을 낳지 않기도 하니까요.
주로 4,5월경에 번식하는 편입니다.
요즘 겨울에도 번식하라고 지자체에서도 새 둥지에
먹이를 지속적으로 주는데도 한 겨울에는 번식하지 않습니다.
야생새들은 먹이가 가장 많고 따뜻할 시기에 번식을 해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겨울에 버드피딩을 하시는 분들이 꽤나 많습니다.
하지만 모든 새라고 다 주는 건 아니예요.
비둘기나 하천 오리는 제외이며
유해조수인 까치는 수렵허가도 납니다.
알아보고 주는게 중요하죠.
728x90
'간단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름 알아두면 쓸모 있는 스타벅스 이야기 알려드려요. (0) | 2023.02.16 |
---|---|
비오는 날 맡을 수 있는 흙냄새인 '흙내음'의 정체 알려드려요. (0) | 2023.02.13 |
강수지가 '이 운동' 으로 키가 1.2cm가 컸다고 하는.. 이 운동 알려드려요. (0) | 2023.02.11 |
겨울철 옷 정전기 없애는 꿀팁 알려드려요. (0) | 2023.02.09 |
넷플릭스 프로필 계정 잠금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