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타벅스 코리아는 미국 스타벅스와의 지분 관계가 정리되었다
원래 이마트 50, 스타벅스 본사 50 이었는데
스타벅스 본사의 지분 17.5를 이마트가 매입하고
나머지 지분을 싱가폴 투자청이 매입을 해버려서
미국 스타벅스의 지분은 0이 된 상태입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법률적인 이유로
"(주)스타벅스커피코리아" 에서
"(주)에스씨케이컴퍼니" 로 바뀌었습니다.
Starbucks
Coffee
Korea
앞글자만 따서 새로 바뀐 것이며
그 이유는 법률상 미국 스타벅스의 지분이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 기본적으로 매장 구분은 쉬운 편에 속한다.
(1) Core 매장 : 기본적인 일반 스타벅스 매장
(2) Reserve 매장 : 리저브 메뉴를 파는 매장.
매장 뒤에 R 로고가 붙어있습니다.
조금 예전에는 이 리저브 매장에만 블랙이글 머신이 있었는데 요즘은
리뉴얼 한 매장이나 신규오픈 매장은 다 블랙이글 머신을 쓴다고 합니다.
(3) Teavana 매장 : 일반 매장에서는 판매하지 않는 Tea 를 판매하는 매장
근데 이게 웃긴게 그냥 매장 이름만으로 티를 파는지 구별이 안됩니다.
원래는 보통 R, 이나 매장 이름에 "더" 가 붙으면 판매를 했는데
예외 매장이 생겨서 구분이 어려워졌습니다.
(4) 드라이브 쓰루 매장 : 차량에서 바로 주문 가능한 매장
보통 매장 이름에 DT가 써져있기 때문에 바로 구별이 가능.
(5) 플래그쉽 매장 : 큰 평수에 고급 매장이 들어선 경우의 매장
대표적으로 이 더양평DTR 매장이 있습니다.
추가로는 더종로R, 더해운대R 등등이 있구요.
3. 직원들도 본명 대신 닉네임을 사용한다.
들어가면 무조건 본명 대신 닉네임으로 불리기 시작합니다.
회사의 수평적인 분위기 때문인데요.
심지어 대표도 닉네임으로 부르고 직원들도 자유롭게 부릅니다.
그렇다고 엄청나게 자유로운 분위기는 아닙니다.
미국식 문화를 가져왔지만 여기는 한국이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남아있는 건 당연한 것 같네요.
직급은 파트너로 시작합니다.
파트너 ->부점장 ->점장 -> 지역매니저 이런식으로 올라가는 형태입니다.
'간단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오는 날 맡을 수 있는 흙냄새인 '흙내음'의 정체 알려드려요. (0) | 2023.02.13 |
---|---|
고양이 밥 주는건 안 되는데 새 밥 주는건 왜 괜찮을까? 알려드려요. (0) | 2023.02.12 |
강수지가 '이 운동' 으로 키가 1.2cm가 컸다고 하는.. 이 운동 알려드려요. (0) | 2023.02.11 |
겨울철 옷 정전기 없애는 꿀팁 알려드려요. (0) | 2023.02.09 |
넷플릭스 프로필 계정 잠금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