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단한 정보

저가 항공사 vs 대형 항공사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제주항공과 대한항공 저가 항공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728x90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가 잦아들고 많은 나라들의 여행 금지가 풀리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여행을 떠나는 여행객들이나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요.

 

우리가 다른 나라를 여행할 때 거의 대부분 이용하는 이 항공사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여행을 갈 때 어떤 여행사를 고르시나요?

그리고 저가 항공사와 대형 항공사의 각각의 메리트는 무엇일까요?

 


먼저 저가 항공을 알아보겠습니다.

 

  • 저비용 항공사(Low Cost Carrier)

영업과 운송 방식, 서비스의 단순화를 추구하여 다른 대형 항공사들보다 저렴한 항공권을 제공함.

주로 미국이나 호주,유럽 같이 땅이 넓어 육상 교통이 불편한 곳에 비교적 짧은 비행 거리의 항공편을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로 많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국내에 가장 유명한 저비용 항공사 제주항공을 필두로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진에어항공 등이 있습니다.

 

대형항공사 vs 저가항공사의 차이

 

 

                차이 대형 항공사  저가 항공사
항공권 가격 100 대형 항공사의 6-70%
운행하는 전략 허브 앤 스포크 포인트 투 포인트
항공기 기종 다양하게 보유 주로 한 기종만 보유
주요로 하는 노선 장거리와 단거리 노선 둘 다 단거리 노선을 주로 운행
기내서비스 무료 거의 없음
취소,환불,변경 수수료 낮음 매우 높음
공항 대도시 공항 중소 공항
수하물 무료 거의 유료

 

 

그럼 사람들이 저비용(저가)항공을 고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뀐 여행 트렌드와 소비 트렌드가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예전 부자들만 가는 여행의 문턱이 낮아지고 요즘에는 평소 쓰는 돈 아껴서

여행을 가자! 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사람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졌으며

항공 자체를 경험하는 것이 아닌 여행을 즐기는 것으로 목적 자체가 바뀌었기에

이동수단에 큰 돈을 들이지말자! 라는 인식이 빠르게 퍼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용적인 가격이 여기에 큰 몫을 했죠.

 

 

그럼 여기서 어떻게 가격을 낮추었을까요?

 

저비용 항공사들의 특징은 보통 항공사들과 다른 중요한 특징들이 있습니다.

 

1. 기종을 집중시켜서 소수만 유지하기

기종을 많이 두면 좋지만 저비용 항공사들은 기종이 하나 추가될 수록 큰 비용이 부담으로 다가오기에

하나의 기종으로 올인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2. 단거리 노선에 치중하기

중간을 찍고 가는 환승 노선, 그리고 목적지가 긴 대형 항공사들과는 다르게 저가 항공사는

단거리 노선으로 직항만을 찍기 때문에 운행비가 굉장히 저렴해집니다.

3. 기내 서비스 최소화

등급 개념 없이 최대한 일반석으로 많은 손님을 받아야 하는 저비용 항공사는

당연히 등급 별로 나뉘어진 대형 항공사보단 서비스의 질이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내식 정도는 단거리 운행에 최적화된 저가 항공에선 단점으로 다가올 순 없을 겁니다.

4. 수화물 관리

이 수화물이 좀 까다롭습니다. 저비용 항공사는 거의 대부분 수하물은 유료 처리를 합니다.

이 수화물 조건을 안 맞추게 되면 저비용 항공사보단 대형 항공사를 쓰는게 훨씬 나을 정도 입니다.

 

* 그리고 이 특징에 적진 않았지만

환불과 취소 수수료가 굉장히 쎕니다.

승객 한 명 한 명이 중요한 저가 항공사이기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

 

 

또한 이 저가 항공에는 가격이 대형 항공보다 적다는 이유로 오해가 많습니다.

 

  • 저가 항공사의 비행기라 많이 흔들린다?

저가항공, 대형항공 둘 다 국내 항공사에선 거의 비슷한 기체를 운용 중입니다.

많이 흔들리는 건 단지 기상 상황 문제입니다.

 

  • 저가 항공사의 비행기라 소음이 심하다?

비행기의 소음은 항공사의 종류가 아닌 비행기 기종, 연령 및 정비 상태에 따라 정해집니다.

쉽게 말하면 비행기가 작으면 작을 수록 엔진과의 거리가 짧아지니

큰 비행기보다 소음을 느낄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죠.

 

  • 오래된 비행기라 사고가 잦다?

안전한 항공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정비를 잘 하느냐 기장의 실력은 어떠한가가 문제입니다.

다만 저비용 항공사라기보다 역사가 짧은 신생 기업으로서, 기존 항공사에 비해 경영 관리가 느슨하고 불안정한 측면이 지적되는 점은 숙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2-3시간 이내의 짧은 단거리 이내 이코노미 좌석이면 

좌석 간의 차이 X (거의 없음)

*하지만 연휴에는 가격이 저가 항공사도 높아질 수 있음

같은 조건이라면 무조건 대형 항공사 O

*내가 해외를 자주 왔다갔다 한다

무조건 대형 항공사 O

(국내선 편도는 500마일 적립 가능합니다. 왕복이면 1000마일입니다. 10번이면 무료 왕복 이용권)

*기내식을 꼭 먹어야겠다

대형 항공사 O

*문제 발생시 신속하게 처리되는 것이 좋고 중요하다

대형 항공사 O

 

 

728x90